📌 습하고 눅눅하던 목요일이 지나고 맑은 하루를 졸린눈으로 시작했습니다🥲 새벽까지 새로운 리액트 강의를 들었는데 내용이 너무 좋아서 시간 가는줄 모르고 들었습니다. 강의는 유데미의 'React 완벽가이드'라는 제목의 외국 강사분께서 강의하는 내용이었는데 리액트를 사용하는 이유부터 차근차근 설명해주시고 내용이 리액트에 대한 내용이 깊이있어서 천천히 학습 할 수 있었습니다.
또, 이번에 진행했던 express 서버를 구현해서 리액트를 이용한 crud를 프로젝트에 fetch를 해서 실제 서버에서 API 데이터를 받아와 렌더링을 해보기로 해서 마음이 들떴습니다. 이번에도 무사히 해결할 수 있도록 기대해 봅니다.**

 

📗 오늘 학습한 내용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 구조가 재귀 함수를 사용할 수 있는 트리 구조이다.
    • 데이터 교환을 위해 만들어진 객체 형태의 포맷
    • 데이터를 보내는 발신자와 받는 수신자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문자열처럼 범용적으로 읽을 수 있는 형태여야 가능

JSON 전송 가능한 조건 (transferable codition)

  • 수신자와 발진가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 문자열처럼 범용적으로 읽을 수 있어야 한다.

JSON.stringify: 객체를 JSON으로 변환

  • 직렬화(serialize)
  • 변환된 객체의 타입은 문자열

JSON.parse: JSON을 객체로 변환

  • 역직렬화(deserialize)

 

📘 추가로 공부할 내용

[udemy] React 완벽 가이드 강의 보기 (매일 조금씩 이라도 꾸준히 듣기)

React에 로컬서버 API 데이터 불러오기

  • express 로컬 서버 구현 
    • 데이터 조회
    • 데이터 추가
    • 데이터 수정
    • 데이터 삭제
  • React CRUD 프로젝트에 적용
    • API 데이터 조회 후 렌더링
      • React로 만든 페이지 새로고침해도 데이터 날아가지 않게하기.
    • API 데이터에 추가
    • API 데이터 수정 후 추가
    • API의 데이터 삭제

 

📝 중요한 내용

  • JSON.stringify: 객체를 JSON으로 변환
  • JSON.parse: JSON을 객체로 변환

'Daily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6.28_TIL  (0) 2022.06.28
22.06.27_TIL  (0) 2022.06.27
22.06.23_TIL  (0) 2022.06.23
22.06.22_Section2 회고  (0) 2022.06.22
22.06.21_TIL  (0) 2022.06.21

📌 재귀함수를 하는 날인데 나는 재귀를 할 때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해서 풀이를 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렸는데 이번 커리큘럼을 통해서 재귀를 조금 더 잘 쓸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한다.

 

 

📗 오늘 학습한 내용

재귀함수

  •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
  • 반복적인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의 코드를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
  • 모든 재귀 함수는 반복문으로 표현할 수 있따.
  • 재귀문제 해결 방법
    1. 문제를 좀 더 작게 쪼갠다.
    2. 1번과 같은 방식으로, 문제가 더는 작아지지 않을 때까지, 가장 작은 단위로 문제를 쪼갠다.
    3. 가장 작은 단위의 문제를 풀어서 전체 문제를 해결한다.
  • 재귀를 사용하는 경우
    • 주어진 문제를 비슷한 구조의 더 작은 문제로 나눌 수 있는 경우
    • 중첩된 반복문이 많거나 반복문의 중첩 회수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
  • 재귀적으로 사고하기
    1. 재귀 함수의 입력값과 출력값 정의
    2. 문제를 쪼개고 경우의 수를 나누기
    3. 단순한 문제 해결하기
    4. 복잡한 문제 해결하기
    5. 코드 구현
  • 재귀의 기초(base case)
    • 가장 해결하기 쉬운 문제부터 해결한다.
    • 나중에 재귀 함수를 구현할 때, 재귀의 탈출 조건을 구성한다.

 

📘 추가로 공부할 내용

재귀문제 풀어보기

  • 재귀문제를 풀 때 데이터의 흐름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점을 주의해서 다시 풀어보자!

[udemy] React 완벽 가이드 강의 보기 (페어분의 추천 강의)

  • React의 기초 부터 심화과정까지 내용이 들어있다.
  • Redux, Next.js, TypeScript의 내용까지 있어서 들으면 굉장히 좋을 것 같다.

 

 

📝 오늘 느낀 점 & 마음 가짐

  • 페어분과 재귀함수 문제를 풀었는데 확실히 나는 오타도 많이나고 한가지의 접근 방식의 고정관념에서 빠르게 벗어나지 못하는 느낌이었다. 거의 다온듯한데 꼼꼼히 보지 않아서 냈던 오류도 많았다.
  • 재귀는 풀때는 재미없지만 풀었을 때 그 짜릿한 손맛이 있었다. 그리고 반복적인 실행을 여러번 실행할 때 코드를 조금 더 줄일 수 있다고 하는데 과연 실무에서도 많이 사용을 하는지 한번 찾아봐야하는 계기가 된 듯 하다.

'Daily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6.27_TIL  (0) 2022.06.27
22.06.24_TIL  (0) 2022.06.24
22.06.22_Section2 회고  (0) 2022.06.22
22.06.21_TIL  (0) 2022.06.21
22.06.20_TIL  (0) 2022.06.20

Section2 회고

내가 정말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그것을 고치려면 어떤것을 해나가야 하는지에 대해서 깨닫게 되는 섹션이 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부족하다고 느낀 것은 css로 디자인을 하는 부분입니다. 스터디원 분들과 진행했던 리액트 0부터 100까지 더미데이터를 사용하여 CRUD를 만들고 각자 진행된 것을 발표하였을 때 너무 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해서 느끼게 되었습니다.

 

🍀 목표 상기하기

  1. 연봉 4000이상의 개발자가 되기
  2. 회사의 코딩, 구현 테스트, 면접을 통과하여 회사에 취직하기
  3.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자리 잡고 풀스택 개발자 도전하기

 

✅ Keep

  • 매일 7시 기상 후 학습 준비
  • 동기와의 교류
    • 나는 항상 나보다 못하는 사람은 없다고 생각하면서 살아왔다 누군가에게는 배울점이 무조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동기분들과의 교류를 통해 나의 지식을 전달해 줄 수 있고, 나도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시간을 지키면서 정해진 학습 내용과 심화적인 내용을 추가적으로 학습한 것
    • 정해진 시간에는 무조건 그것에 대한 공부를 열심히해서 잊어버릴 때도 있지만 기능구현이나 코플릿,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생각나게 했습니다.
  • 알고리즘 1일 1문제 풀이
    • 아직까지 코플릿을 풀때 5~10분 사이를 넘지 않도록 도와준 가장 큰 습관이 되었습니다.
  • 스터디 활동
    • 스터디 내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서 동기부여 되었습니다.

 

🚫 Problem

  • 원래 잠을 많이 자지않아서 가끔 밤을 새서 학습을 하다가 정규 학습시간에 졸린경우가 있었다.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건강과 체력이 동반되어야 하는데 정신력만으로 버티고 있다.

 

🚴🏼‍♂️ Try 작성하기

  • 가장 유지하고 싶은 것은 잠시간을 정해두고 지키면서 정규 시간에 졸리지 않도록 해야겠다. (최소 4시간은 무조건 잠을 자도록 하자!)
  • 오전 9시 예습한 내용을 복습하고 정규학습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 섹션1에서 회고 했던 내용중 지키지 못한 것이있다. 그것은 하루에 1시간은 산책하여 건강을 조금이라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겠다.

 

📌 우선순위 정하기

  1. 잠을 최소한 4시간은 자도록 하자!
  2. 건강을 지키면서 롱런 할 수 있도록 한다!
  3. 정규 학습을 통해 실력을 쌓는다!
  4. 부족한 부분은 다양한 강의를 찾아보며 나의 실력을 쌓는다!
  5. 동기들과의 교류를 더욱 많이 해본다!

'Daily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6.24_TIL  (0) 2022.06.24
22.06.23_TIL  (0) 2022.06.23
22.06.21_TIL  (0) 2022.06.21
22.06.20_TIL  (0) 2022.06.20
22.06.18_TIL  (0) 2022.06.20

📌 오늘은 코드스테이츠 전 수료생이자 나의 대학교 동기와 함께 코딩을 같이 해보았다. 덕분에 Postman 사용하는 방법과 서버의 과정등을 자세히 알 수 있었다.

 

 

📗 오늘 학습한 내용

Express

  • express를 사용하여 항공편 검색 및 API 생성
  • 항공편 목록 전체 조회
  • 항공편 목록중 항공기 아이디검색을 통한 행선지 조회
  • 항공편 예약하기
  • 전화번호를 통해 예약한 항공편 조회

 

 

📘 추가로 공부할 내용

기술면접 준비

  • section2에서 배운 내용들을 가지고 기술면접을 준비해 본다.
    • 고차함수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비동기
    • React
    • 네트워크
    • Ajax
    • node.js
    • express

 

 

📝 오늘 느낀 점 & 마음 가짐

  • 내일 솔로프로젝트를 하는 날이다. 이런것에 대한 정보는 찾지 못하였다. 그런데 섹션2에서 나온내용으로 아고라스테이츠를 구현한다고 들었다. 그렇다면 서버를 생성후 전에 만든 아고라에 적용하는 것으로 될 것 같다.

'Daily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6.23_TIL  (0) 2022.06.23
22.06.22_Section2 회고  (0) 2022.06.22
22.06.20_TIL  (0) 2022.06.20
22.06.18_TIL  (0) 2022.06.20
22.06.17_TIL  (0) 2022.06.17

📌 금요일날 배운 내용을 가지고 항공편을 검색하는 서버 및 API를 생성하는 과정을 배우는 날이다. 먼가 요즘 백엔드라 재미있는 건지 없는 건지 궁금하지만 힘들땐 재미있다고 해야 힘들지 않으니 재미있다!!!!!!

 

 

📗 오늘 학습한 내용

Express

  • express를 사용하여 항공편 검색 및 API 생성
  • 항공편 목록 전체 조회
  • 항공편 목록중 항공기 아이디검색을 통한 행선지 조회
  • 항공편 예약하기
  • 전화번호를 통해 예약한 항공편 조회

 

 

📘 추가로 공부할 내용

기술면접 준비

  • section2에서 배운 내용들을 가지고 기술면접을 준비해 본다.
    • 고차함수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비동기
    • React
    • 네트워크
    • Ajax
    • node.js
    • express

 

 

📝 오늘 느낀 점 & 마음 가짐

  • 내일 솔로프로젝트를 하는 날이다. 이런것에 대한 정보는 찾지 못하였다. 그런데 섹션2에서 나온내용으로 아고라스테이츠를 구현한다고 들었다. 그렇다면 서버를 생성후 전에 만든 아고라에 적용하는 것으로 될 것 같다.

'Daily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6.22_Section2 회고  (0) 2022.06.22
22.06.21_TIL  (0) 2022.06.21
22.06.18_TIL  (0) 2022.06.20
22.06.17_TIL  (0) 2022.06.17
22.06.16_TIL  (0) 2022.06.16

📌 오늘 리액트를 0부터 100까지 Create react app 부터 시작하여 CRUD를 구현해보는 날이다. 내가 과연 잘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을 해결할 수 있는 날이 된 것이다. 어떻게든 해결을 했으면 좋겠다. 나는 할 수 있다!!

 

 

📗 오늘 학습한 내용

React

  • CRUD 구현하기
    • Create 구현
    • Read 구현
    • Delete 구현
    • Update 관련 자료 찾아보기 및 구현 진행

Python Study

  • [level3]정수 삼각형 문제 풀이
    • 식을 그림으로 그려서 풀어보면 나름 풀 수 있는 문제였다.

 

 

📘 추가로 공부할 내용

React

  • CRUD 구현하기
    • Update 기능 구현

 

 

📝 오늘 느낀 점 & 마음 가짐

  • 항상 Update하는 방법이 너무 헷갈리는 것 같다,,,
  • id중복 없애고 객체 내용에 맞게 state 넘겨주고.... 어우 할게 많다..
  • 그리고 Delete는 숨기기라는 사실을 알았다. 간혹 구글링을 하다가 보면 '해당 글은 존재하지 않습니다'라는 문구를 본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구글리에서 미리보기 글은 또 보이는 경우가 숨기기라는 것을 깨달았다. 여기서 왜(?) 기업들은 글을 삭제해서 저장공간을 확보를 하면 되지만 삭제를 하는 순간 서버의 요청이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숨기기 처리를 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Daily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6.21_TIL  (0) 2022.06.21
22.06.20_TIL  (0) 2022.06.20
22.06.17_TIL  (0) 2022.06.17
22.06.16_TIL  (0) 2022.06.16
22.06.15_TIL  (0) 2022.06.15

+ Recent posts